|
|
|
체험형[1] |
체험형[2] |
체험형[3] |
체험형 소개
지역사회로의 자립을 희망하는 중증장애인에게 지역사회 내 일정기간 동안 거주할
수 있는 주거 공간을 제공하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자립생활 기술교육을 통해 자신만의 자립생활을 구성하고 계획하여 체험하는 공간
입주자격
대구시에 거주하는 장애인 또는 대구시가 운영비를 지원하는 장애인 거주시설 거주자 중 장애인
거주기간
단기체험(1주일~1개월) 및 중기체험(최대 2년)
주거비용
- 개인적인 일상생활에 필요한 비용만 개인부담
- 공과금(관리비, 통신비, 도시가스, 정수기) 센터 지원
입주절차
신청
접수(연중)
방문상담
(초기상담)
사례회의
입주자
선정
자립지원
계획수립
단기체험
진행
단기체험
평가
(복귀/연장)
장기입주
진행
신청방법
- 구비서류 작성 후 방문·우편·이메일(dcil8001@naver.com) 접수

- 구비서류 : 입주신청서, 개인정보동의서, 시설소속기관 의견서(시설신청자 한해), 장애인증명서
- 신청서 다운로드 붙임서류 : 입주 신청서, 개인정보동의서, 시설소속기관 의견서
입주자 자립지원
개별자립지원 |
일상생활능력훈련 |
위생, 식생활, 의생활 등 |
자기관리능력훈련 |
시간관리, 금전관리, 건강관리 등 |
관계형성능력훈련 |
개별상담, 위기개입, 대인관계 등 |
지역사회연계강화훈련 |
체험활동, 자원연결 등 |
그룹별자립지원 |
자립생활기술강좌 |
성교육, 안전교육, 경제교육 등 |
입주자 자조모임 |
입주자 의견수렴, 유대관계 증진 등 |
자립체험여행 |
입주자 회의를 통한 자립여행 |
체험형 반상회 |
입주자, 활동지원사, 담당자간 의사소통의 장 마련 교류활동 등 |
사후관리 |
완연한 자립을 기념하는 포토북 증정, 정기적 퇴주자 관리 |
퇴주절차
체크
리스트 평가
퇴주 상담
사례회의
가정 입주
/지역사회
자립 결정
퇴주계획서
작성
퇴주절차
지원
퇴주
* 발달장애인의 경우, 지역사회 자립 시 의사 확인 후 공공후견인 신청 필요
사후관리
퇴주 후 정기적인 상담을 통한 일상생활 및 지역사회 적응 정도 확인
체험형 입주 현황
*입주 예정, 입주완료는 입주,퇴주에 따라 변동
구분 |
유형 |
정원 |
방1 |
방2 |
체험형[1] |
남성장애인 |
2명 |
입주 완료 |
입주 완료 |
체험형[2] |
여성장애인 |
2명 |
입주 완료 |
주거개선 |
체험형[3] |
남성장애인 |
2명 |
입주 완료 |
주거개선 |